전남도, 아시아·태평양 최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쾌거
검색 입력폼
전라남도

전남도, 아시아·태평양 최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쾌거

신안에 민자 20조원 투입해 10개 단지 3.2GW 규모 조성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2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해상풍력집적화단지 지정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시사뉴스방송]전라남도는 단일단지 기준 아시아·태평양 최대이자 세계 2위 규모로 추진되는 3.2GW 신안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22일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를 거쳐 집적화단지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를 계기로 여수, 고흥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13GW)과 영광, 진도 등 전남 전역에 해상풍력 30GW 보급, 도민 에너지 기본소득 1조 원 달성, 기자재 연관산업 및 재생에너지100(RE100) 수요 기업 유치까지 달성한다는 것이 전남도의 큰 그림이다.

집적화단지는 지자체 주도로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을 확보해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집단으로 설치·운영하는 구역이다. 공동접속설비를 구축하게 돼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민자 20조 원이 투입돼 전체 10개 단지 3.2GW 규모로 조성된다. 이는 설비 용량 기준으로는 원전 3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전남도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해상풍력 보급 실적을 획기적으로 늘리고 발전 비용을 낮춰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대규모 발전단지 조성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송전선로 경과지 주민을 포함하는 전력계통협의체를 구성해 송·변전설비 구축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연간 2천450억 원을 확보할 수 있어 주민 이익 공유와 에너지 기본소득을 실현할 계획이다.

시장 확대와 함께 연관 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 나선다. 전남도는 지역 공급망 우대 방안 등을 통해 하부구조물, 타워, 케이블 등 해상풍력 연관 기업 유치에 힘쓰고, 목포신항을 포함한 인근 지역에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클러스터를 만들어 조선업과 함께 전남을 대표하는 산업으로 육성,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 고등·대학생이 고소득으로 전남을 지키며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 계획이다.

김영록 지사는 “앞으로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목포신항과 해남 화원산단에 터빈·블레이드·하부구조물 제조기업 100개를 유치하고, 2천500여 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3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또한 동부권 등 전남 전역에 해상풍력 30GW를 보급함으로써 전남이 대한민국 에너지산업의 수도이자, 아시아·태평양 해상풍력 중심지로 도약토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침체를 겪는 풍력 업계도 그동안 지지부진하던 한국 해상풍력 사업에 청신호가 켜진 것으로 해석하며 집적화단지 지정을 반기는 상황이다. 여기에 지난 3월 해상풍력 특별법과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의 통과로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해상풍력 산업과 연계성이 큰 대불산단 등지의 조선 해양 기업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전남도는 정부 기조에 발맞춰 해상풍력 보급을 확대하고 연관 산업의 육성을 견인하기 위해 더욱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강미영 기자 inews247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