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당공원은 1547년 박세후 광양현감이 읍성의 노출을 막기 위해 조성한 보안림으로, 당시에는 땅의 기운을 보완하는 비보림이자 해풍 피해를 차단하는 방풍림의 역할을 했다.
지금은 500년의 나이테를 새긴 이팝나무, 수양버들, 푸조나무 등의 고목이 아담한 연못과 어우러져 그윽한 풍취를 자아낸다.
특히, 18m에 달하는 높이와 아름다운 수형을 자랑하는 이팝나무는 '광양읍수(光暘邑藪)와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235호)로 지정돼 인서리숲과 함께 보호받고 있다.
이팝나무는 꽃이 마치 이밥(쌀밥)처럼 보여 이름 붙여졌으며, 입하 무렵 개화해 ‘입하목’이라고도 불린다.
꽃이 많이 피면 풍년이 든다는 속설도 전해지며, 유당공원의 이팝나무는 보통 5월 초순부터 개화하기 시작한다.
공원 한 편에는 참전유공자기념비, 충혼탑, 토평사적비 등 역사적 의미를 지닌 조형물이 시대의 정신을 아로새긴 채 굳건히 서 있다.
인근에는 광양예술창고, 인서리공원, 전남도립미술관, 매월 1일과 6일 열리는 광양오일시장 등 도보로 둘러볼 수 있는 문화공간도 풍성하게 마련돼 있다.
김미란 광양시 관광과장은 “오랜 시간을 켜켜이 간직하고 있는 유당공원은 계절마다 독특한 정취를 지니고 있지만 쌀가루를 뿌려 놓은 듯 새하얀 이팝나무꽃이 절정을 이루는 오월이 가장 아름다운 시기”라며 “500년 역사를 오롯이 나이테에 새긴 고목 사이를 거닐며 사색을 즐기고, 인근 인서리공원, 도립미술관, 광양예술창고, 광양오일시장과 연계한 도보여행으로 광양의 오감을 만끽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강미영 기자 inews2477@naver.com